건강보험증 본인확인 방법(ft 건강보험증, 신분증, 휴대폰 없을때는?)
2024년 5월 20일부터 보건복지부는 건강보험 본인확인 의무화 제도를 시행합니다. 이 제도는 병원 및 의원에서 건강보험 급여를 받기 위해 반드시 본인임을 증명해야 하는 절차입니다. 이 글에서는 건강보험증 본인확인 방법과 신분증이나 휴대폰이 없을 경우, 또는 예외사항 및 벌칙 및 과태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건강보험증 본인확인 제도
예전에는 건강보험 적용 시 주민등록번호만 제시하면 진료를 받을 수 있었으나, 이는 건강보험 무자격자가 타인의 명의를 도용하여 부정 수급하는 문제가 많이 발생했는데요.
최근 5년간 연평균 3.5만 건의 도용사례가 적발되어 8억 원을 환수했다고 합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건강보험 본인확인 제도를 도입해서 24년 5월 20일 월요일부터 바로 시행합니다. 아래글에서 본인확인 수단을 확인해 보세요.
건강보험증 본인확인 방법
본인확인 수단으로는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등 신분증뿐만 아니라 전자서명, 본인확인 서비스, 모바일 건강보험증 앱 등이 있습니다. 특히 모바일 건강보험증 앱을 통해 QR코드를 제시하면 간편하게 본인확인이 가능합니다.
[ 건강보험증 본인확인 수단 ]
본인확인수단 | 상세내용 |
---|---|
신분증 |
|
전자서명인증서 |
|
본인확인 서비스 |
|
전자신분증 |
|
신분증이 없을 경우 확인 방법
신분증을 지참하지 않았더라도 스마트폰에 모바일 건강보험증 앱을 설치하여 이를 제시하면 진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모바일 건강보험증은 앱스토어에서 쉽게 다운로드할 수 있으며, QR코드를 제시함으로써 간편하게 본인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0xVyc/btsHvtMb2sm/yYxmSBPNObskh967BO4bZK/img.jpg)
휴대폰이 없을 경우 확인 방법
휴대폰을 소지하지 않은 경우에도 병원에서 진료비를 본인 부담으로 결제한 후, 추후 신분증을 지참하여 병원을 방문하면 본인확인 후 차액을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14일 이내에 신분증과 영수증 등을 지참하여 방문해야 합니다
예외 상황
일부 예외 상황에서는 신분증 없이도 기존 방식대로 주민등록번호만으로 진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예외 상황에는 미성년자, 재진 환자, 응급환자, 거동이 불편한 환자 등이 포함됩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기존처럼 주민등록번호 등을 제시하여 진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벌칙 및 과태료
![건강보험증](https://blog.kakaocdn.net/dn/b9OhBY/btsHt14jXsG/SUHggG0sosEdPuW2I15Sr1/img.jpg)
건강보험 자격을 도용하면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본인확인을 하지 않은 요양기관은 최대 100만 원의 과태료를 부과받을 수 있으며, 제도 시행 초기인 3개월 동안 유예됩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인지부조화 이론과 뜻, 예시, 극복방법 알아보기
여러분은 누군가와 다르게 생각하거나 행동할 때 마음이 불편해진 적이 있나요? 이건 누구나 겪는 자연스러운 현상인데요, 바로 "인지부조화"라는 것 때문이에요. 오늘은 인지부조화 이론과 뜻,
popcornp.tistory.com
1분만에 알아보는 입학년도, 졸업년도 계산기(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대학교)
학교 졸업 연도를 정확하게 기억하고 계세요? 사실 졸업한 지 오래되면 연도를 정확하게 기억하기가 몹시 어려운데요. 오늘은 1분 만에 학교 입학 연도 및 졸업 연도를 정확하게 알아보는 계산
popcornp.tistory.com
레임덕(식물대통령),데드덕,시팅덕 vs 마이티덕 뜻과 현상
정치에서는 종종 오리를 비유적으로 사용하여 특정한 상황이나 현상을 비유적으로 사용하는 용어가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레임덕과 식물대통령, 데드덕, 시팅덕, 마이티덕의 뜻과 현상에 대해
popcornp.tistory.com
![](https://blog.kakaocdn.net/dn/dkLXLv/btsHuJBZ2IJ/FrBFmDq7g9LaejUaHH2VWk/img.jpg)
결론
건강보험 본인확인 제도는 건강보험 제도의 공정성과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중요한 변화입니다. 병·의원 방문 시 신분증을 지참하거나 모바일 건강보험증을 이용하면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으니 미리 앱을 다운로드하여두시면 되겠습니다.
'New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암월드컵경기장 주차장 근처 유료 주차장-마포구 농수산물시장 주차장, 상암1공영주차장 이용하기 (0) | 2024.05.22 |
---|---|
모바일 건강보험증 앱으로 발급 받는 방법(ft. 미성년자는?) (0) | 2024.05.19 |
1분만에 알아보는 입학년도, 졸업년도 계산기(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대학교) (0) | 2024.04.23 |
서울 상암 월드컵 경기장 주차장 위치 4곳, 주차요금 할인TIP (0) | 2024.03.19 |
서울시 기후동행카드 신청 모바일 티머니 등록하기 (0) | 2024.02.22 |
댓글